|
 |
안과 검사의 종류 및 목적 |
fjrigjwwe9r3edt_lecture:conts 안과 검사의 종류 및 목적
눈이란 신체중 가장 정교한 조직이며 신체의 다른쪽 질병에서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그여파를 막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안과검진이 필요하게 됩니다. 최근 들어서는 대기 오염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성 안과 질환이나 렌즈 관리 소홀로 인한 안과 질환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여서 체계적인 눈의 건강 관리가 어느 때보다도 시급한 상황입니다. 또한 노인성 안과 질환의 경우 특별한 예방법이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안과 검진으로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가 훨씬 용이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각막형세도(Coneal topograph)
각막의 지형도를 그린다고 할 수 있는 검사로서 등고선을 연상하면 되는 검사입니다. 각막도 일정한 두께가 있고 각막의 위치별 두께와 난시의 모양 등이 컴퓨터 그래픽으로 나타납니다.
각막내피세포 촬영(Specular microscope photo)
각막의 두께와 내피세포의 밀도 및 형태를 검사하는데, 경면 현미경으로 관찰 후 촬영하게 됩니다.
망막전위도(electro-retino gram) ERG
망막은 10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반적인 망막의 기능과 부분적인 망막기능 검사가 있습니다. 일정한 빛 자극을 주어 거기에서 생기는 전위차를 증폭시켜 그래프로 이상유무를 알아내는 검사입니다.
안구전위도(Electro-oculogram) EOG
안구운동을 시키면서 전위차를 이용하여 망막의 색소상피층의 이상 유무를 알아보는 검사로 색소상피층의 이상은 주맹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야맹을 먼저 동반합니다.
안구전위도(Electro-oculogram) EOG
안구진탕의 패턴을 검사하는 것으로, 전극부착은 EOG와 동일하게 하고 주시방향에 따른 안구진탕의 패턴을 검사합니다.
안저촬영(Fundus photo)
안구의 후방에는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망막을 포함한 시신경이 있으며, 이러한 곳에 이상이 있을 때 기록과 진단을 확정하게 할 목적으로 병변 부위의 안저를 촬영합니다.
인공수정체 도수검사(Intra ocula lens power test) IOL Power
수정체의 혼탁을 백내장이라 부르며, 이로 인해 시력이 저하될 경우 수정체를 제거해 본래의 수정체가 하던 역할을 인공수정체로 대신하게 됩니다. 인공수정체 도수검사는 본래 수정체가 가지고 있던 굴절력을 측정하여 인공수정체로 대체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사시사진(gaze photo)
사시는 눈의 부동성을 말하며 여러종류의 사시가 있으며, 원인도 다양합니다. 그리고, 주시하는 방향에 따라서도 사시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모양을 기록으로 남기고 다음 follow up 때 혹은 수술전, 수술후에 비교를 위해 검사하는 것입니다.
시야검사(Visual field test) V/F
시야검사는 망막, 시신경 혹은 뇌의 종양과 혈관 질환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검사이며, 환자의 협조와 검사자의 주관적이지만 정확한 판단력이 우선되어야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검사입니다. 단안씩 검사하며, 환자의 시야가 좁은지 암점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병변부위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반구의 기구에 환자의 중심시력이 있는 부분에 주시점을 맞추고 시표가 나타나면 환자가 부저를 누르며 하는 검사입니다.
시신경유두 삼차원 분석술 HRT
녹내장의 진단에 이용하며, Laser를 이용, 시신경의 삼차원적인 영상을 그래픽으로 발현한후, 시신경의 형태를 삼차원적으로 분석하는 검사입니다.
색각검사(Color test)
검사방법은 다양하지만, 색각의 이상은 시신경의 이상유무를 알 수 있는 척도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생체현미경 전안부 촬영, 세극등 촬영 (Photo slit lamp = Anterior segment photo)
조직의 횡단면을 생체에서 볼 수 있는 검사이며 이를 사진으로 찍어서 볼 수 있습니다. 각막과 수정체는 좁은 세격광선으로 횡단되므로 조직 표본을 잘라서 보는 효과와 같습니다.
초음파 검사(Ultra sono gram) USG
A와 B scan으로 구분되며 A scan은 안축장을 측정하며, B scan은 안구전방의 혼탁으로 안저 관찰이 힘들때 시행합니다. 이는 망막박리나 종양 등을 화상으로 보며 사진으로 기록을 남기는데 이용하기 위함입니다.
형광안저조영술(Fluolescine angio graph) FAG
형광을 발하는 조영제를 정맥주사하여 안저를 촬영하는 검사이며, 단순한 안저 촬영보다 더 정밀한 검사라 할 수 있으며, 망막과 맥락막의 질환을 알아내는데 무엇보다 중요하며 기본적인 검사라 할 수 있습니다.
|
|
|
|
|